티스토리 뷰

반응형

캐나다, 호주, 일본 직구 시 세금은? FTA 적용과 관세까지 완벽 정리 사진

캐나다, 호주, 일본 직구 시 세금은? FTA 적용과 관세까지 완벽 정리

요즘은 해외직구가 어렵지 않다 보니, 유럽이나 미국뿐 아니라 캐나다, 호주, 일본 같은 다양한 나라에서도 물건을 주문하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간과하는 부분이 있으니 바로 통관 시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제품 가격만 보고 “싸다!” 싶어 주문했는데, 막상 관세와 부가세로 몇만 원에서 수십만 원까지 추가 지출이 생기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캐나다, 호주, 일본에서 직구했을 때의 세금 구조, 그리고 FTA 적용 여부와 조건까지 상세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앞서 정리한 미국, 영국, EU와의 차이점도 함께 비교해드릴게요.


✅ 먼저, 해외직구 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세금 구조

▸ 관세 (Customs Duty)

  •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0%에서 40%까지 부과됩니다.
  • 예: 전자제품은 대부분 무관세, 가방/의류는 평균 8~13%

▸ 부가세 (Value Added Tax)

  • 한국 소비자에게는 수입 제품에도 10% 부가세가 부과됩니다.
  • 제품 가격 + 운송비 + 관세 포함 금액의 10%

▸ 개별소비세/교육세

  • 사치품(고급 시계, 귀금속 등)에만 적용되며, 일반 직구에는 거의 없음

✅ 면세 기준 (2025년 기준)

국가 면세 기준 금액
미국 200달러 이하
그 외 국가(영국, 유럽, 일본, 캐나다, 호주 등) 150달러 이하

※ 배송비 포함 금액 기준이며, 초과하면 전체 금액에 세금 부과


1. 🇨🇦 캐나다 직구 시 세금 및 FTA 적용

🔹 한국-캐나다 FTA 현황

  • 정식 명칭: 한-캐나다 자유무역협정 (Korea-Canada FTA)
  • 발효일: 2015년 1월 1일
  • 혜택: 캐나다산 제품에 대해 FTA 원산지 증명서 제출 시 관세 면제 가능

🔹 원산지 증명 방식

  • 캐나다는 정식 수출자 서명과 진술문을 요구합니다.
  • 인보이스 또는 별도 원산지 증명서에 아래 문구 필요:

"I hereby certify that the goods covered by this shipment qualify as originating under the rules of origin of the Korea-Canada FTA."

  • 판매자가 정식 수출자여야 하며, 일반 셀러는 거의 불가능

🔹 실전 세금 예시

예: 캐나다산 가방 300달러 구입, 배송비 포함 총 350달러

  • 과세가격: 약 472,500원 (환율 1달러 = 1,350원)
  • 관세 (13%): 61,425원
  • 부가세 (10%): 약 53,392원
  • 총 세금: 약 114,817원

→ FTA 적용 시 관세 면제, 총 세금 약 47,250원


2. 🇦🇺 호주 직구 시 세금 및 FTA 적용

🔹 한국-호주 FTA

  • 발효일: 2014년 12월 12일
  • 대부분의 공산품에 대해 관세 철폐
  • 호주산 제품일 경우, 원산지 증명서 제출로 관세 면제 가능

🔹 원산지 증명 요건

  • 호주는 자기 선언 방식이 가능하며, 비교적 간단한 절차로 FTA 적용
  • 단, 6,000달러 초과 시 공식 수출자 인증 필요
  • 일반 직구 제품에는 원산지 증명서가 없는 경우가 많음

🔹 실전 예시

예: 호주산 스니커즈 250달러, 배송비 포함 270달러

  • 과세가격: 약 364,500원
  • 관세 (8%): 약 29,160원
  • 부가세 (10%): 약 39,366원
  • 총 세금: 약 68,526원

→ FTA 적용 시 관세 면제, 총 세금 약 36,450원


3. 🇯🇵 일본 직구 시 세금 및 FTA 적용

🔹 한국-일본 FTA는 아직 없음!

  • 2025년 현재, 한국과 일본은 정식 FTA가 없습니다.
  • 따라서 일본에서 수입한 제품은 관세 혜택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실전 예시

예: 일본산 백팩 180달러 + 배송비 30달러 = 총 210달러

  • 과세가격: 약 283,500원
  • 관세 (13%): 약 36,855원
  • 부가세 (10%): 약 32,035원
  • 총 세금: 약 68,890원

FTA 혜택 없음으로 관세 + 부가세 모두 납부


4. 국가별 FTA 및 세금 구조 비교표

항목 캐나다 호주 일본
FTA 유무 ✅ 있음 ✅ 있음 ❌ 없음
관세 면제 조건 원산지 증명서 제출 자기 선언 또는 인증 수출자 불가
일반 직구 적용 가능성 낮음 중간 없음
면세 기준 150달러 이하 150달러 이하 150달러 이하
전자제품 관세 대부분 무관세 대부분 무관세 무관세 or 저율
의류/가방 관세 평균 13% 평균 8~13% 평균 13%

5. 세금 줄이는 직구 팁 (캐나다·호주·일본 편)

FTA 원산지 증명서 확인 후 구매
→ 브랜드몰이나 공식 리셀러 이용이 유리

배송비 포함 150달러 이하로 분할 구매 고려

일본 직구는 관세 혜택 없으므로 부가세 계산은 필수

전자제품은 대부분 무관세, 부담이 적음

환율 급등기에는 세금 기준 초과 주의


마무리: 직구 성공의 핵심은 ‘정보력’

해외직구는 단순히 ‘해외에서 사는 것’이 아니라, 세금까지 계산한 총비용 기준의 소비입니다.
오늘 정리한 캐나다, 호주, 일본의 FTA 및 세금 구조를 참고하면,
같은 제품도 최소 몇 만 원에서 수십만 원까지 절약할 수 있어요.

앞으로 해외직구를 하실 땐 아래 3가지만 꼭 기억하세요:

  1. FTA 있는 국가인지?
  2. 원산지 증명서 확보 가능한 판매처인지?
  3. 면세 기준 초과 여부?

다음 글에서는 동남아(싱가포르, 베트남 등) 직구 시 세금 구조와 FTA 적용도 정리해보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